본문 바로가기
식조사's 정보놀이터/꿀's 주식, 투자 정보

주가 하락이유, 공매도 재개 호재인가? 악재인가?

by 식조사 2025. 3. 31.

25년 3월 31일 주식 시장에서 공매도가 다시 허용되면서 오늘 주가는 곤두박질을 친듯하다. 이에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 전략으로, 주식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고 가격 형성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번 공매도 재개 첫날, 외국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졌고, 일부 종목은 큰 폭의 하락을 경험했다. 이번 글에서는 공매도 재개가 시장에 미친 영향과 주요 특징을 정리해 보겠다.

공매도 재개 첫날 시장 상황

코스피가 3% 하락한 공매도 거래가 다시 시작된 첫날, 정규시장 내 공매도 거래대금은 약 1조 7284억 원으로 전체 시장 거래의 11.41%를 차지했다. 이는 상당히 높은 비중이며,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의 거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1. 외국인 투자자의 주도적인 공매도 거래
    • 전체 공매도 거래대금 중 외국인 투자자가 차지한 비중은 89.3%에 달했다.
    • 기관 투자자는 1708억 원(9.88%)을 기록했으며, 개인 투자자의 거래 비중은 0.82%로 극히 미미한 수준이었다.
  2. 개인 투자자의 참여율 감소
    • 공매도 제도 개선을 통해 개인과 기관 간 접근성 격차를 줄였다고 평가받았지만, 실제 거래 결과는 오히려 개인 투자자의 참여 비율이 낮아졌다.
    • 공매도 금지 직전이었던 2023년 11월 3일 당시 개인 투자자의 비중이 2.21%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번 재개 후 비중은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3.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비중
    • 코스피 시장 내 공매도 거래대금은 1조 3012억 원으로 전체 코스피 거래대금의 14.62%를 차지했다.
    • 외국인 투자자의 코스피 공매도 거래 규모는 1조 1780억 원(90.5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기관이 1114억 원(8.55%), 개인은 120억 원(0.92%)이었다.
    •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이 주도적으로 공매도를 진행했으며, 총 4272억 원의 공매도 거래대금 중 외국인이 3655억 원(85.57%), 기관이 594억 원(13.90%), 개인이 23억 원(0.53%)을 차지했다.

공매도 재개로 인한 주가 하락

공매도가 다시 시작되면서 여러 종목이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공매도 거래가 집중된 종목들은 하락 폭이 더 컸다.

  1. 삼성전자 주가 하락
    • 공매도 거래가 가장 많았던 종목은 삼성전자로, 공매도 거래대금만 1조 2668억 원에 달했다.
    • 이에 따라 삼성전자 주가는 3.99%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2. 급등주 중심으로 급락 현상 발생
    • 공매도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종목은 올해 들어 큰 폭으로 상승했던 동양철관이었다.
    • 동양철관은 공매도 물량이 몰리면서 이날 7.57% 하락 마감했다.

공매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특정 시점에서는 시장 변동성을 높이고 주가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1.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변동성 확대
    •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서 판 후 나중에 다시 사서 갚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매도 물량이 많아지면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
  2. 외국인 주도 시장 형성
    • 이번 공매도 재개 후 외국인의 거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에서, 국내 주식 시장이 외국인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개인 투자자의 공매도 접근성이 여전히 낮다는 점도 시장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3. 공매도 표적이 된 종목들의 추가 하락 가능성
    • 공매도가 집중된 종목들은 단기적인 주가 하락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다만, 이후 반등을 노리는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공매도 재개는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주가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 중심의 공매도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일부 종목들의 하락폭이 커졌고, 개인 투자자의 참여율이 오히려 감소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앞으로 공매도 제도 개선이 어떻게 이루어질지, 그리고 시장이 이를 어떻게 반영할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공매도 금지 확정! 금지 기간과 수혜주 종목확인!

 

공매도 금지 확정! 금지 기간과 수혜주 종목확인!

정부에서 공매도 금지를 확정지었습니다. 이번 공매도 금지는 일시적으로 지난번 코로나 시기에 했던것과 같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번 공매도 금지로 인해 당연히 불법공매도로 인해 피

salespeople.tistory.com

 

댓글